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66

롯데월드 배틀그라운드 놀이기구 : 배틀그라운드 월드 에이전트 2023년 봄에 롯데월드에 배틀그라운드 어트랙션이 생길 예정이다. 이 소식은 테마파크의 메카라고 불리는 미국 올랜도 주에서 매년 개최되는 IAAPA Expo에서 발표가 되었다. 11월 15일에 열린 IAAPA는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musement Parks and Attractions'의 약자로, 세계유원시설협회의 박람회를 뜻하며, 해당 엑스포에서는 테마 파크, 놀이공원, 동물원, 아쿠아리움, 호텔과 리조트 등 관광산업과 관련된 프로젝트를 공유하고 네트워킹 및 비즈니스 매칭의 기회를 제공한다. 배틀그라운드 월드 에이전트(Battlegrounds World Agent)? 롯데월드에 설립될 배틀그라운드 어트랙션의 이름은 ‘배틀그라운드 월드 에이전트(Battlegrounds.. 2022. 12. 14.
외국인에게 소개할 한류 문화 (패션, 음식, 뷰티, 드라마) 패션, 뷰티를 포함해 여러 대중문화 분야에서 한국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더 이상 ‘한류’는 케이팝이나 케이드라마에 국한된 얘기가 아니다. 전 세계의 여러 사람들이 한국 문화에 대해 관심을 넘어서 열광하고 있다. 한국인들은 어떤 음식을 어떻게 먹고, 어떠한 행동 양식을 보이는지 매우 세밀한 부분까지 관심을 가지는 추세다. 그러하다 보니 직간접적으로 아는 외국인 지인들이 한국을 방문하거나, 한국에 관해 물어오는 일이 적지 않다. 정말 10년 전까지만 해도 외국인을 만날 때 “저는 한국에서 왔습니다(I’m from Korea)”라고 소개하면, “한국이 어디에 있는 건가요?(Where’s Korea?)”라고 되묻곤 했었는데, 이제는 오히려 한국이라는 나라에 대해 전혀 무지한 외국인을 만나는 게 이례적인 일이.. 2022. 12. 12.
골프의 역사와 한국 골프의 새로운 붐! 정밀한 계산이 필요한 골프는 바람, 고도, 스윙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요하며, 신체적, 정신적 피로도가 극심한 스포츠다. 기분 좋게 필드에 나갔다가 “다시는 안 치겠다!” 다짐하며 귀가하는 사람들을 여럿 보았을 것이다. 불편해 보이는 스윙, 무겁고 복잡해 보이는 골프 클럽, 그리고 무엇보다 비싼 레슨비와 골프장 피는 일반인을 골프 코스로부터 점점 멀어지게 만든다. 그렇다면 도대체 왜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어렵고 힘들고 비싼 골프에 열광하는 것일까? 골프의 역사 오늘날 우리가 아는 형식과 모습의 ‘골프’는 스코틀랜드에서 시작되었다. ‘골프(golf)’라는 용어도 스코틀랜드 고어로 ‘치다’를 뜻하는 ‘고프(goulf)’에서 왔다. 13세기 중엽 양치기들 사이에서 시간을 때우는 놀이 정도로 인식되던 초기 골프.. 2022. 12. 5.
월드컵과 한국 – 역대 한국 성적과 카타르 월드컵 전망 2002년 한일 월드컵에서 4강 신화를 쓴 지 20년이 지났다. 아직까지 축구는 한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 중 하나이며, 월드컵은 전 국민이 고대하는 이벤트다. 한국은 FIFA 월드컵에 10번 연속으로 진출했다. 대륙별 쿼터제를 감안하더라도 흔한 기록은 아니다. 오늘은 한국의 월드컵 역사와 이번 2022년 카타르 월드컵에서 어떤 걸 기대해볼 수 있을지 간략히 다뤄보고자 한다. 한국 FIFA 월드컵 역대 기록 한국은 1954년 스위스 월드컵에 처음 출전했다. 그리고 1986년 멕시코 월드컵부터는 4년마다 개최되는 모든 월드컵 경기에서 예선을 통과해 본선에 진출해오고 있다. 즉 카타르 월드컵까지 한국은 총 11회, 연속으로는 10회 본선 진출을 해오고 있는 것인데, 이는 아시아에서 1위, 세계에서는 6.. 2022. 11. 27.
한국 커피, 카페 문화의 역사와 현황 일상의 분주함으로부터 잠깐의 여유를 찾거나 피곤함을 달랠 때, 공부나 업무에 집중해야 하는데 집에서는 능률이 떨어질 때, 혹은 지인과 식사를 한 뒤 조용히 이야기를 나눌 공간이 필요할 때, 우리는 카페를 찾아 커피를 마신다. 일반인들은 커피를 생각하면 이탈리아의 에스프레소나, 미국의 베리에이션 커피를 먼저 떠올리기 마련이다. 커피에 진심인 사람은 스타벅스로 커피의 혁명을 일으킨 미국 시애틀을 먼저 얘기하거나, 블루보틀이나 필즈 커피(Philz Coffee) 등 1990년 후반부터 시작된 “Third Wave” 카페들을 생각하기도 하며, 런던의 플랫 화이트나 비엔나의 아인슈페너를 떠올리며 입맛을 다시기도 한다. 커피 문화에 있어서 아직 제대로 된 인정을 못 받고 소외되고 있는 현실이지만, 특히 자국민은 모.. 2022. 11. 20.
성평등의 현주소와 페미니즘 운동 2010년 이후 한국에서 불거진 가장 큰 사회적 이슈 중 하나는 단언 젠더와 페미니즘에 관한 것이다. 성차별과 불평등은 고질적인 우리 사회의 문제였지만, 특히 2015년에 여성시대, 메르스 갤러리, 워마드 등 온라인 플랫폼에서 페미니즘 운동이 활성화되며, 그 이후로 젠더와 페미니즘에 대한 정치적, 사회적 담론이 본격화되었다. 이로부터 10년이 가까워지고 있는 지금 시점에, 과연 한국 사회 내 성평등의 현주소는 어떤지 살펴보고자 한다. 대한민국 남녀 임금격차 – OECD 국가 중 최악 동일 노동 동일 임금(Equal pay for equal work)은 국제노동기구(ILO) 헌장에 있는 노동법의 주요 원칙일 뿐만 아니라, 의심의 여지가 없는 기본적인 상식이다. 성별, 나이, 종교, 병역 여부, 부양가족과 .. 2022. 11. 20.
제 27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 주요 내용 수십 년 동안 꾸준히 제기되어 온 범세계적 문제가 하나 있다. 바로 기후 변화다. 마치 방 한 켠에 놓인, 미루어 둔 방학 숙제 같았던 기후 변화의 문제가 이제는 코앞에 놓인 위기로 제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전 세계에서 슈퍼 태풍, 지진, 홍수, 그리고 가뭄과 같은 이상 신호들이 목격되고 있다. 지구의 온도는 올라가고, 만년설은 녹고 있다. 기후의 문제는 지구의 단위에서는 아주 작은 온도의 변화로 보일지 모르겠지만, 그 속에 사는 인류에게는 감당하기 어려운 심각한 결과로 돌아오기 마련이다.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COP란? UN은 기후 변화를 완화하고, 지구를 다시 살기 좋게 치유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연례 정상회담을 조직했다. ‘COP(Conference of Parties)’라는 이름의 이 정.. 2022. 11.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