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66

나라, 문화별 까마귀의 상징과 의미 지금은 우리나라에서 까마귀를 보면 불길한 징조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짙다. 하지만 과거에도 그랬던 것은 아니다. 예컨대 고구려에서는 다리가 셋 달린 까마귀(삼족오)를 태양의 상징으로 받아들이며 신성시했다. 시간이 흐르며 점차 까마귀에 대한 이미지는 부정적으로 바뀌었고, “까치는 길조, 까마귀는 흉조”라는 상징이 자리 잡게 되었다. 이렇듯 우리나라만 보더라도 까마귀의 상징이나 이미지는 시간에 따라 바뀌어 왔는데, 재미있게도 우리나라를 벗어나 다른 문화권들을 봐도 저마다 까마귀를 바라보는 시선 내지는 뉘앙스가 다르다. 서양 문화에서의 까마귀: 죽음과 지혜 먼저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바로 서양 문화에서 얘기하는 까마귀는 동양 문화의 까마귀와 다르다는 것이다. 동양에 흔히 서식하는 까마귀는 ‘Crow’.. 2023. 7. 14.
황제주와 액면분할 (액면분할을 하는 이유와 하지 않는 이유) 지난 며칠간 에코프로가 황제주에 등극했다는 뉴스가 여러 차례 보도되었다. 황제주는 1주당 가격이 100만 원이 넘는 주식을 말한다. 코스닥에서는 16년 만에 새로운 황제주가 나타난 것이라 자연히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장중 1주당 가격이 100만 원을 넘어 황제주가 되었을 시점에, 국내 증시에서는 에코프로가 유일한 황제주였다. 과거에도 SK텔레콤, 아모레퍼시픽, 삼성전자, 삼성바이오로직스, 롯데지주, 롯데칠성, LG생활건강, 태광산업 등이 있었지만 그렇게 많지는 않았다. 주가가 떨어져서 황제주의 자리를 내어준 케이스도 있지만, 높아진 주가로 인한 부담을 덜기 위해 액면분할을 활용해 주가를 의도적으로 낮추기도 하기 때문이다. 황제주가 액면분할을 하는 이유 주가가 오르면 회사는 높아진 주당 가격을.. 2023. 7. 12.
살 빠지는 당뇨병 치료제 오젬픽 사용을 중단하는 이유 2021년 초에 당뇨병 치료제가 비만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며 큰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이후에 오젬픽(Ozempic), 위고비(Wegovy)와 같은 당뇨병 치료제들이 살을 빼려는 일반 대중들에게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2023년 초에는 공급에 차질이 생길 정도의 품귀현상이 논란이 되었다. 삭센다, 오젬픽, 위고비를 제조하는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에서 수요를 줄여보고자 기존에 운영하던 텔레비전 광고를 모두 중단했을 정도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 살을 빼기 위해 당뇨병 치료제를 사용하던 많은 이들이 당뇨병 치료제의 사용을 중단하는 사례들이 늘어나고 있다. 다이어터들에게 당뇨병 치료제를 팔아 큰 수익을 내던 제조사들도 긴장하고 있지만, 학계에서도 요요 현상에 대한 신체적, .. 2023. 7. 11.

턱 운동 보조기구 Jawzrsize 효과 리뷰 최근 들어 새로운 신체 부위의 운동이 유행을 타고 있다. 바로 턱이다. 굳이 턱까지 운동을 해야 하나 싶지만, 턱 운동을 하고 나서 생김새가 달라졌다는 후기는 많은 이들의 관심을 충분히 끌 만한 소재였다. 턱운동이 유행하며 턱운동을 “Jawzrsize(자절사이즈)”라고 부르는 것도 자리 잡고 있다. Jawzrsize란 턱을 의미하는 “Jaw”와 운동을 뜻하는 “Exercise”의 합성어다. 자연스럽게 턱운동을 돕는 보조기구도 “Jawzrsize”라고 불리고 있는데, 나도 호기심에 이끌려 한 제품을 사서 사용해보고 있다. 턱운동 보조기구 Jawzrsize Jawzrsize는 고무 재질로 된 턱 운동 보조기구다. 물었을 때 턱에 저항을 주어 운동이 되게 하는 방식이다. 브랜드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보통 Ja.. 2023. 7. 8.
메타의 새로운 SNS 서비스 스레드(Threads) 리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왓츠앱을 보유한 소셜 미디어의 제왕 메타(META)에서 새로운 SNS 서비스를 공식 출시했다. 바로 스레드(Threads)다. 스레드는 텍스트 기반의 소셜미디어로, 짧은 글을 게시하고 공유하는 데에 최적화된 플랫폼이다. 그 특성 때문에 자연스럽게 트위터(Twitter)와 비교되며 시작부터 경쟁구도를 만들어가고 있다. 스레드(Threads)의 게시물 길이 제한 스레드는 메타의 인스타그램(Instagram) 팀이 개발한 텍스트 기반의 새로운 SNS 앱이다. 스레드에서는 트위터와 유사하게 게시물 길이에 제한을 두고 있다. 스레드에서 한 포스팅에 작성할 수 있는 텍스트는 최대 500자이고, 링크나 사진을 첨부할 수 있으며, 동영상은 최대 5분까지 게시할 수 있다. 스레드(Threads)와.. 2023. 7. 7.
가장 최근에 지정된 미국 연방 공휴일 준틴스(Juneteenth) 국가의 공휴일은 고정되어 있지 않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기념해야 할 사건이나 정신 등이 부각되면 새로운 공휴일이 생기기도 하고, 반대로 시대가 변하며 의미나 중요도가 재해석되면서 있던 공휴일이 사라지기도 한다. 미국에서도 불과 2년 전에 새로 지정된 연방 공휴일이 있다. 바로 준틴스(Juneteenth)라고 불리는 노예해방기념일이다. 며칠이면 준틴스인 만큼, 오늘은 가장 최근에 지정된 미국 연방 공휴일 준틴스 데이에 대해 다루어 본다. 준틴스(Juneteenth) 날짜 준틴스는 이름에서 그 기념일이 몇 월 며칠인지 유추할 수 있다. 준틴스는 6월을 뜻하는 ‘준(June)’과 19일을 뜻하는 ‘나인틴스(nineteenth)’를 합친 말이다. 두 단어를 합성하며 ‘나인’이 탈락하고 ‘준틴스’가 남게된 것이다.. 2023. 6. 18.

달리기 습관을 만드는 어플 런데이(Runday) 리뷰 런데이(Runday)라는 어플이 출시된 초기에 사용하며 주위에 추천을 하다가 여러 가지 이유로 달리기를 중단했었다. 최근 들어 달리기에 최적인 동네로 이사를 하면서 다시 런데이 어플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 사이에 런데이 프로그램은 좋게 말하면 훨씬 다양해졌고, 나쁘게 말하면 많이 무거워졌다. 불편한 수준은 아니지만 여기저기 붙은 광고들도 예전 같지 않은 게 사실이다. 런데이를 추천하는 이유 그럼에도 불구하고 달리기에 취미를 붙이려는 지인이 있다면 아직까지 런데이를 자신 있게 추천할 수 있다. 왜냐하면 달리기는 재미를 들이는 수준까지 실력을 끌어올리는 초반이 가장 어려우면서 중요한데, 런데이는 그 습관을 만들어주는 데에 최적인 어플이기 때문이다. 런데이의 취지는 ‘누구나 30분 달리기를 할 수 있다’는 .. 2023. 6.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