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어원3 파파라치(Paparazzi)의 어원과 다양한 변형 LA에 살다 보면 유명한 가게나 번화한 거리를 지날 때 주변을 서성이는 파파라치들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한국에도 파파라치가 있지만 대개 언론사에 재직하는 촬영기자지, 자영업으로 파파라치를 하는 사람은 보지 못했던 것 같다. 미국은 헌법 수정 조항 제1조 표현의 자유가 기본적으로 파파라치 활동을 법적으로 보호하기 때문에(물론 유명인의 자녀를 파파라치로부터 보호하는 법안이나, 특정 구역에 파파라치의 출입을 금지할 수 있는 보호망은 있다) 독립적으로 사업을 영위할 수 있는 환경이 예전부터 갖춰져 있었다고 볼 수 있다. 파파라치(Paparazzi)의 어원 우리는 연예인, 정치인, 운동선수 등 유명인의 사진을 찍어 언론사에 판매하는 사람을 파파라치라고 부른다. 더 구체적으로 얘기하자면 보통 이들은 공식적인 행.. 2022. 8. 25. ‘학을 떼다’라는 표현의 유래와 어원 내 블로그의 포스팅 중에서 사람들이 가장 많이 읽은 글은 “가는 날이 장날이다 – 장날의 의미”다. 사실 이 글은 ‘가는 날이 장날이다’라는 속담을 다룬 글이 아니라, 단양에 놀러 갔을 때 들렀던 오일장에서 비롯된 시장에 대한 상념이었다. 속담의 유래는 서론으로써 첫 문단에 간략하게만 다루었는데, 이 글을 읽은 방문객의 대부분이 포털 사이트 검색을 통해 유입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속담의 유래가 궁금했던 사람들이 많았던 것 같다. 그래서 “가는 날이 장날이다”라는 속담처럼 사람들이 매우 흔하게 사용하나 그 유래나 어원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지 않는 표현들이 무엇이 있을지 고민해봤다. 한 동안 적당한 게 떠오르지 않다가 ‘학을 떼다’라는 표현이 불현듯 생각났다. 주위 지인들을 통해 테스트해보았는데, “학을 .. 2022. 8. 18. 오케이(OK)의 유래 - 말장난에서 시작된 만국공통어 오케이(OK). 만국 공통의 언어를 생각해 보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가 바로 ‘오케이(OK)’다. 세계 어느 나라를 가든 오케이, 라는 단어는 같은 의미로 통용된다. OK는 긍정의 의미로 사용되는데 맥락에 따라 “이해했다,” “알겠다”의 피동적인 확인을 뜻할 때도 있고, “좋다,” “그렇게 하자”의 능동적인 의사를 뜻할 때도 있다. 더불어 OK라는 단어는 발화하는 대신, 엄지와 검지의 끝을 붙여 고리 모양(OK의 O를 상징)을 만들어 상대방에게 보여주는 수신호만으로도 의미가 전달된다. 요컨대 오케이, 라는 단어는 맥락에 따라 정확한 의미를 파악해야 하는 범용성을 지닌 단어인데도 불구하고, 심지어는 수신호만으로도 세계 어디서든 그 의미가 전달될 만큼, 인류의 언어체계에 뿌리 깊게 자리를 잡았다. 오케이.. 2022. 8. 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