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쑤시개2 이쑤시개의 모든 것 - 역사, 효능, 의미, 제작과정 등 (2편) 한때 이쑤시개는 우리나라의 큰 자랑이었다.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막바지였던 1966년에 경향신문은 ‘이것도 팔리고 있다’는 기획기사를 연재했다. 예상보다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특이 수출품들을 소개하는 재미있는 기사였다. 그 첫 번째 주제가 바로 이쑤시개였다(2편은 다람쥐였다). ‘외화벌이 꼬마 첨병(尖兵)들’이라는 적절하면서도 무척이나 귀여운 부제가 달린 기사는 한국 이쑤시개가 일본에서 나무를 가져와 보세가공으로 미국에 수출되고 있으며, 연말까지 20만 불 수출을 기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대한민국 경제성장의 최전방에 수십억 개 이쑤시개가 장창을 들고 서 있는 모습을 상상해보라! 무척이나 귀엽지 아니한가... 그로부터 10년 후인 77년에는 이쑤시개 수출액이 200만 불로 10배 증가.. 2020. 4. 20. 이쑤시개의 모든 것 - 역사, 효능, 의미, 제작과정 등 (1편) 외할아버지 주머니 속에는 언제나 5~6개의 이쑤시개가 들어간 작은 지퍼백이 하나 있다. 이쑤시개를 두고 외출하시는 건 있을 수가 없는 일이다. 할아버지는 이쑤시개를 ‘요지’라 부르신다. 이쑤시개 유래 요지는 ‘버드나무 가지’를 뜻하는 양지(楊枝)의 일본식 표현인데, 그 유래는 다름 아닌 불교에서 찾을 수 있다. 부처는 어느 날 입 냄새가 심한 제자들에게 버드나무 가지로 이를 닦으라 했고, 이 가르침이 우리나라에 전해지며 고려인들은 칫솔을 ‘양지’라 부르기 시작했다. 불교를 먼저 받아들인 우리나라의 ‘양지’가 일본으로 넘어가 요지라 불리게 된 것이니, 할아버지는 단어를 역수입하신 것이다! 굳이 이쑤시개를 달리 부르자면 요지보다는 양지가 정확하다. 우리가 하루에 세 번씩 하는 양치질도 ‘양지’에 접미사 ‘질.. 2020. 4. 10. 이전 1 다음 반응형